2009년 전국 중개업자 증가율 지난 10년래 ‘최저’ 1985년부터 30~40대 직장인에게 큰 인기를 누렸던 공인중개사 자격증과 중개업시장이 최근의 부동산시장 침체로 포화상태에 다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의 개업률이 26% 수준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이마저도 지난 3년 간 증가추세가 점차 꺾이면서 개·폐업하는 점포수가 같아지는 형국이다.
부동산정보업체 (주)부동산써브( http://www.serve.co.kr)의 조사에 따르면 2009년 현재 전국의 중개업자는 총8만3천728명으로 이 중 공인중개사가 7만4천227명, 중개인 9천90명, 중개법인 411곳으로 나타났다.
전국 중개업자는 1999년 이후부터 10년 동안 폭발적인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2009년 들어 증가율이 10년래 최저수준인 0.12%까지 떨어지면서 사실상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전국의 공인중개사는 지난 10년 간 매년 5%이상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으나 2009년에는 1.39%증가에 그치면서 작년에 새롭게 추가된 1만5천916개의 자격증 대부분이 ‘장롱 보관용’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수도권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는데, 2009년 현재 수도권지역 중개업자는 5만6천241명(공인중개사 50,108명, 중개인 5,835명, 중개법인 298곳)으로 2008년 대비 -0.29% 감소율을 나타내면서 새천년이 시작된 2000년 이후 10년 만에 첫 감소를 나타냈다.
반면 지방은 수도권보다 더 빨리 포화상태에 돌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2009년 현재 지방의 중개업자는 2만7천487명(공인중개사 24,119명, 중개인 3,255명, 중개법인 113곳)으로 4년 전인 2006년 2만7천336명과 수치상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면서 4년 동안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수치에 드러나는 둔화현상 뿐만 아니라 매년 시행되는 자격시험을 통해 평균 2만개의 자격증이 추가(2004년 이후 5년 간 11만904개 신규추가)되는 것을 감안해보면, 중개업자의 증가율 둔화는 중개시장의 침체양상이 장기화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개업시장은 시장의 활성화가 전제되어야 하고,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에 당분간은 중개업자가 지난10년처럼 급격히 늘어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중개업 창업을 준비하는 공인중개사들은 시장진입에 이전보다 신중을 기해야 한다.
자료제공 : 부동산써브( www.serve.co.kr)
스포츠월드 온라인 뉴스팀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