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실과 판타지의 적절한 조화, 배우들의 액션 팀워크로 웹툰 전지적 독자 시점이 영화로 구현됐다.
17일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점에서는 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보고회가 열렸다. 현장에는 김병우 감독, 배우 안효섭, 이민호, 채수빈, 신승호, 나나가 참석했다.
전지적 독자 시점은 10년 이상 연재된 소설이 완결된 날 소설 속 세계가 현실이 되고, 유일한 독자였던 김독자(안효섭)가 소설의 주인공 유중혁(이민호) 그리고 동료들과 함께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다. 2018년 네이버시리즈 연재 이후 누적 조회수만 2억뷰에 달하는 동명의 인기 웹툰을 원작으로 한다.
김 감독은 “현실적인 부분과 판타지가 잘 섞여 있는 점이 매력적이었다. 보통 판타지라고 하면 무겁게 느껴질 수 있고, 영화적으로 많은 것을 설명해야 한다. 하지만 이 작품은 현실 안에 판타지가 자연스럽게 들어온다”며 “관객도 참여하면서 볼 수 있는 작품이다. ‘나라면 어떻게 할까’라는 생각을 끊임없이 하게 된다. 이야기의 출발이 항상 지하철역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더 몰입하며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제작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현실과 판타지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매력은 어려움으로도 작용했다. 감독은 “어떻게 영화로 만들지에 대한 고민이 길었다. 연재 초반에 들어갔던 작품이라 이후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알지 못한 상태였다”며 “현실과 판타지를 어떻게 적절하게 믹스해야 할지 생각이 많았다. 배우들과도 출발은 현실인데 영화가 극적으로 가면서 어떤 애티튜드를 보여야할까 고민했고, 그 과정에서 좋은 해답을 많이 찾았다”고 말했다.

안효섭이 맡은 김독자는 게임회사의 계약직 사원이자 소설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는 세 가지 방법’의 유일한 독자다. 소설이 현실이 된 세계에서 자신만이 알고 있는 전개를 활용해 시나리오를 클리어해 나간다.
안효섭은 “대본을 처음 받았을 때 어떻게 구현될까 궁금증이 가장 컸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만나볼 수 없었던 스케일이었다”며 “갖고 있는 철학에도 관심이 갔다. 세상은 혼자 살아가는 것이 아닌 결국엔 모두가 함께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 좋았다”고 말했다.
연기하면서 가장 신경 쓴 부분에 대해선 “독자의 입장에서 순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최대한 라이브하게 그 감정을 느끼려고 했다. ‘이 순간 이 애티튜드가 맞을까’ 감독님과 얘기를 나누면서 촬영했다”며 “또 독자가 특별한 스킬이 없어서 최대한 많이 뛰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이민호는 죽어도 무한 회귀하는 능력을 가진 소설 속 주인공 유중혁을 맡았다. 수많은 회귀로 인한 복잡다단한 감정선과 폭발적인 액션으로 관객의 몰입감을 극대화시킬 예정이다.
이민호 역시 작품이 주는 메시지에 마음이 동해 참여하게 됐다. 이민호는 “긴 시간 배우의 삶을 살면서 다양한 사회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됐고, 마이너한 이야기도 종종 찾아봤다. 사회가 점점 개인화, 고립화되어 간다고 생각하던 와중에 대본을 받게 됐다”며 “멸망한 세계 안에서 인간이 인간을 통해 힘과 위안을 얻고, 함께 헤쳐나가는 그 감정선들이 지금 시대에 필요하지 않을까 싶었다”고 합류하게 된 이유를 밝혔다.
이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것들에 대해 감독님과 많이 이야기를 나눴다. 각자 인생의 중요한 가치관과 짐을 갖고 살아가지 않나. 유중혁도 다르지 않을 거라 생각했다”며 “미션을 묵묵히 클리어하면서도 독자같은 인물이 나타났으면 좋겠다는 일말의 희망을 갖고 있을 거라고 생각하며 연기했다”고 말했다.

채수빈, 신승호, 나나의 새로운 모습도 이 영화의 관전 포인트다. 채수빈은 독자의 직장 동료이자 함께 소설이 된 현실을 맞닥뜨리게 되는 유상아, 신승호는 강인한 힘과 방어력으로 위기마다 큰 도움을 주는 군인 이현성, 나나는 독자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하고 정의를 위해 싸우는 정희원을 맡았다.
각자 특별한 능력을 갖고 있는 이들의 통쾌하고 시원한 액션 연기가 기대된다. 채수빈은 “원래 액션을 했던 배우고 아니고, 블루스크린 앞에서 연기를 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촬영하면서 느낀 건 이 역시 혼자 헤쳐나가는 게 아니라 배우, 스태프, 감독님까지 모두 함께 만들어가는 거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 지점에서 배움이 있었다”고 액션 연기를 선보인 소감을 전했다.
나나는 “제대로 된 액션 연기에 갈망이 있었기 때문에 촬영하면서 굉장히 재밌었다. 액션이 나한테 큰 에너지를 줬다. 아이돌 생활을 해서 그런지 몸을 쓰니 에너지가 차더라”라며 “촬영에 들어가기 전에 다 같이 리허설을 많이 했다. 완벽하게 몸에 익었을 때 촬영을 시작했고, 다 같이 찍는 장면임에도 테이크를 많이 가지 않았다”며 완벽한 팀워크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