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80%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원인 불명확하고 예측 어려워
면역세포 치료법 완치율 85%
재발 위험에 완치 후 관리 필요

소아청소년암은 성장·발달기에 발생해 고액의 치료비와 오랜 치료 시간이 소요되는 힘든 질병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은 소아청소년 백혈병이다. 이는 대부분 급성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백혈병 증상이 나타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소아청소년 백혈병의 개념과 증상, 치료법에 대해 홍경택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봤다.
-소아청소년 백혈병의 개념을 설명해달라.
“국내에서는 통상적으로 18세 미만 청소년까지의 암을 소아암 혹은 소아청소년암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의 경우, 1년에 대략 1200~1500명에서 발생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 소아청소년 백혈병이다. 2020년 기준 소아청소년 백혈병은 총 372명이 새롭게 진단됐다. 9세 이하에서 193명, 10~19세에서 179명으로 발생했다.
소아청소년 백혈병은 발생한 혈액세포의 기원에 따라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과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나뉜다. 보통 소아청소년 백혈병의 70~80%는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으로 나타난다.”
-소아청소년 백혈병이 나타나는 원인은.
“백혈병 세포는 대부분의 경우 혈액이 만들어지는 골수에서 기인한다. 세포 내 유전 물질인 DNA의 돌연변이나 염색체 구조 및 수 이상 등으로 혈액세포의 정상 분화 과정에 이상이 생기고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이 이루어져, 정상 혈액세포가 암세포로 전환된 것이다. 성인암이 대부분 흡연이나 식습관과 같은 환경적 요소에 영향을 받는 것과 달리 소아청소년암은 원인이 불명확하고 발병 예측이 어렵다. 암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유전적 소인이 약 10% 내외에서 밝혀지고 있다. 이온화 방사선이나 벤젠, 중금속 등의 화학약품 등도 백혈병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이것만으로 소아청소년암 발생을 충분히 설명할 수는 없어 확률적인 요소가 많다고 볼 수 있다.”

-증상은 어떤가.
“백혈병 세포는 조절되지 않고 끝없이 증식해 정상 혈액세포가 자라날 골수 공간을 차치한다. 이로 인해 정상 혈액 기능이 감소해 빈혈로 인한 창백, 운동 능력 감소, 혈소판 감소로 인한 출혈 경향, 쉽게 멍드는 증상, 정상 백혈구 감소로 인한 면역 기능 저하, 감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증식된 백혈병 세포가 뇌·척수와 같은 중추신경계, 간, 비장, 림프선, 고환 등에 침범해 관련된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중추신경계를 침범했을 때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으나, 드물게 뇌압 상승으로 두통 등의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밖에 다리, 허리 통증 등의 뼈 통증이 심하게 생기는 경우도 있다. 이렇다 보니 정형외과적 질환이나 류마티스 질환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진단은 어떻게 이뤄지나.
“소아청소년 백혈병의 진단은 성인 백혈병과 마찬가지로 골수검사가 필수다. 골수를 채취하기에 가장 안전한 부위는 골반뼈다. 골수 검사는 골반뼈의 성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통증도 비교적 수일 내 회복된다. 다만, 소아 환자는 진정제 사용 시 생길 수 있는 호흡 관련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각별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소아청소년 백혈병 치료 과정이 궁금하다.
“소아청소년 백혈병은 암세포가 혈액을 따라 퍼지는 전신 질환이다. 수술로 제거하는 다른 고형암과는 치료 접근이 다르다. 초기 응급상황이 많아 발견과 동시에 신속히 치료해야 한다. 주된 치료 방법은 항암제를 투여하는 항암화학요법이다. 침범 여부에 따라 항암제가 잘 통과하지 못하는 중추신경계나 고환 등 국소적인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흔히 골수 이식이라 하는 조혈모세포이식을 활용하기도 한다. 급성 B 림프모구 백혈병의 경우 다양한 면역 세포를 이용한 치료법들이 개발돼 상용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경우 완치 비율이 약 85% 이상이며, 급성 골수성 백혈병 역시 약 60% 이상 완치율을 보인다.”
-소아청소년 백혈병 진단 후 일상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
“소아청소년 백혈병 환자의 약 15%에서 치료 중 또는 이후 재발할 수 있다. 주로 골수로 재발하며 중추신경계, 고환에서도 나타난다. 치료 후에는 정기 진찰과 혈액검사를 통해 재발 여부를 추적하고, 합병증 발생 여부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무엇보다 건강한 식사가 중요하다. 특히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환자는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비만해질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집중치료기에는 식욕이 감소하고 구역감, 구내염 등이 있을 수 있지만 조금씩이라도 나눠서 자주 먹는 게 영양 상태 유지에 도움이 된다. 특히 충분한 수분 섭취와 걷기 등 운동으로 근육을 유지해야 한다.”
-환자들에게 제언해달라.
“소아청소년암은 아이나 가족의 잘못이 아닌 우리 사회가 함께 도와주고 치료해야 하는 병이다. 치료 과정이 쉽지는 않지만 암 치료 관련 약제들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아이들의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보다 더 건강하게 아이들을 완치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아이들, 청소년들의 놀라운 회복력을 신뢰하며 부모님들께서도 희망의 끈을 절대 놓지 마시라. 아이들의 옆에서 항상 긍정의 에너지를 주시면서 의료진과 함께 이겨내셨으면 좋겠다.”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