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월드

연예

검색

몽골고원 4부작 2편 '낙타의 노래' 방영

입력 : 2014-02-06 21:00:00 수정 : 2014-02-06 21:00:00

인쇄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KBS 파노라마’가 몽골고원 4부작 중 2편 ‘낙타의 노래’를 6일 방영한다.

고비의 쌍봉낙타는 인간에게 반쯤 길들여져 있다. 새끼는 게르 주변에 두지만, 다 자란 낙타들은 멀리 내보내 마음껏 풀을 뜯게 한다. 척박한 사막에서 인간과 낙타는 함께 있어야 모래 폭풍과 폭염, 영하 40℃를 밑도는 혹한을 견뎌낼 수 있다.

낙타는 오랜 세월, 모든 신체구조가 사막에 적합하게 진화를 거듭해왔다. 지방을 저장하고 있는 두 개의 혹은 낙타로 하여금 극단적인 환경에 적응할 수 있게 해 준 중요한 요소다. 등에는 에너지를 저장하고, 위에는 물을 저장하는 낙타. 온종일 아무 것도 먹지 않고 버틸 수 있고 물 없이도 몇 주씩이나 끄떡없다. 혈액순환을 통해 체온을 더위와 수분 손실에 따라 올리고 내리며 몇 달 동안 계속 걸을 수도 있는 낙타는 고비에서 가장 강한 생명력을 지닌 존재다.

‘봄’ 하면 푸른 풀이 돋고 꽃이 피는 아름다운 봄을 떠올리지만, 고비의 봄은 시시때때로 찾아오는 황사에 잿빛으로 물들 경우가 많다. 사람도, 동물들도 예고 없이 불어 닥치는 모래 바람의 시련을 묵묵히 견딘다. 그 봄에 2년생 낙타 한 마리가 진통을 시작한다. 보통 낙타들의 경우 3년생부터 새끼를 낳기 때문에 이는 무척 드문 경우다. 오랜 산고 끝에 결국 세상으로 나온 새끼는 척박한 모래땅을 딛고 일어서기 위해 넘어지고 일어서기를 반복한다. 수 시간이 지난 후 걸음마에 성공한 새끼 낙타, 낙타의 주인이 찾아와 고비의 새 식구가 된 새끼 낙타에게 축복을 내려준다.

낙타는 단봉 낙타와 쌍봉낙타로 구분하는데, 몽골을 비롯한 중앙아시아에서 살아가는 낙타는 쌍봉낙타다. 단봉낙타에 비해 추운 지역에서 살아가는 쌍봉낙타는 털이 훨씬 길며, 몽골에서는 동물의 털 중에 낙타털을 염소털 다음으로 귀하게 여긴다. 유목민들은 따뜻한 봄이 되면 낙타의 털을 대부분 깎아낸다. 낙타의 털이 무척 유용하게 쓰이기 때문인데, 털을 내다팔기도 하고, 꼬아서 줄을 만들어 생활에 쓰기도 한다. 또 털을 잘라낸 후엔 낙인을 찍고, 귀에 예쁜 리본을 매주며 자신의 낙타임을 표시한다.

몽골 유목민들은 죽은 말의 꼬리털을 모아 두 개의 현을 잣고, 나무를 깎아 말의 머리와 울림통을 만든다. 이것이 몽골의 유명한 악기, 머링후르, 즉 마두금이다. 말의 꼬리털로 만든 현을 쓰다듬으면 말의 울음소리를 낸다고 하는 마두금 소리가 낙타들을 울린다. 낙타 중에는 난산의 고통을 잊지 못해 새끼에게 젖을 먹이지 않는 어미가 있는데, 유목민들은 그럴 때 어미에게 마두금 연주를 들려주어 어미의 심금을 울린다. 이를 후스라고 부르는데, 몽골 사람들은 말이 죽어서 된 마두금이 낙타를 위로하고 감동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름다운 마두금 연주를 들은 어미 낙타는 실제로 눈물을 흘리고 새끼가 젖을 먹어도 거부하지 않는다.

몽골은 지구상 최후의 유목 국가로 남은 나라다. 수천 년 전과 똑같이 유목 생활을 이어가는 이들이 몽골 고원엔 아직 많이 남아 있다. 유목민들이 이사를 할 때 꼭 필요한 동물이 바로 낙타다. 낙타는 한번에 250Kg이나 되는 많은 짐을 실을 수 있다.

게르를 해체하고, 그 속에 있던 짐들을 나눠 낙타에 실은 뒤, 남은 낙타에는 사람이 타고 새로운 집터로 이동한다. 이사를 끝낸 유목민들은 겨울 식량 마련을 위해 낙타를 잡는다. 고비의 낙타는 유목민들에게 젖과 고기, 털을 주고, 이동수단이 되기도 한다. 황량한 사막 고비에서 살아가기 위해 유목민들에게 낙타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

6일 밤 10 KBS 1TV 방송.

한준호 기자 tongil77@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연예 스포츠 라이프 포토

연예
스포츠
라이프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