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월드

검색

[이문원의 쇼비즈워치] ‘프듀48’ 일본아이돌 실력 없는 진짜 이유

입력 : 2018-06-25 10:02:55 수정 : 2018-06-25 09:50:49

인쇄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엠넷 걸그룹 서바이벌 프로그램 ‘프로듀스 48’ 2화 시청률이 발표됐다. 1.9%(AGB닐슨). 지난 1화 1.1%에서 상승한 수치이자, ‘프로듀스 101’ 시즌2 2화 성적을 따라잡은 수치다. ‘프로듀스 48’ 실제 시청확장성이 그 화제성만큼이나 높다는 점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프로듀스 101’ 시즌3에 해당하는 ‘프로듀스 48’은 한국 연습생들 대상 ‘프로듀스 101’ 형식에 AKB48 등 일본 48그룹 멤버들을 포함시켜 탄생된 한일합작 걸그룹 서바이벌 기획이다.

어찌됐건 시즌3까지 끌고 간 프로그램이 이처럼 큰 반향을 일으킨다는 건 주목할 만한 일이다. 다소 애매했던 1화 성적에 비해 2화 성적이 크게 뛴 상황이기에 더욱 그렇다. 재방 삼방 등으로 시청한 1화 내용에 만족한 시청자들이 많았단 얘기가 된다. 그리고 그런 관심이 2화 방영 이후로도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 그럼 대체 ‘프로듀스 48’ 1, 2화의 어떤 요소가 시청자들 관심을 이처럼 꾸준히 유지시키고 있는 걸까.

‘프로듀스 48’ 1, 2화는 사실 명확한 ‘주제’를 담아낸 회차였다. ‘문화의 차이’. 정확히는 한일 간 아이돌산업 및 그 지향점 차이다. 1화가 그 차이를 극명하게 드러내는 회차였다면, 2화에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일참가자들이 운명공동체로 거듭나는 과정을 묘사했다. 그리고 그 ‘문화의 차이’ ‘아이돌의 차이’ 설명은, 사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개념 그대로였다.

일본 아이돌은 퍼포먼스 실력으로 평가받지 않고 그저 대중에 ‘즐거움’을 선사할 수만 있으면 된단 식으로 성립하며, 그래서 실력보단 귀여움 등 부가적 요소가 더 중요하단 설명이다. 결국 일본 아이돌은 ‘필요가 없어’ 제대로 된 훈련도 받지 않은 상태고, 그러니 수년을 활동한 베테랑일지라도 춤과 노래 등 실력적 차원에선 한국 연습생에 크게 못 미친다는 것. 물론 상황을 극단적으로 압축하면 그렇게 설명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렇게 된 이유’ 배경부분까지 설명될 필요가 있다. 방송 형식으론 짧은 시간 내 설명되기 힘든 부분이라 생략된 듯하지만, 지면상으론 이를 살펴보기 더 수월하다.

‘프로듀스 48’ 1화에서 AKB48 멤버 고토 모에는 한국 아이돌에 대해 이렇게 묘사한다. “아이돌이지만 아티스트의 느낌이 있는 (한국 아이돌의) 그런 점을 동경해요.”

일본서 ‘아티스트’는 특정 문화예술 분야 ‘전문인력’ 정도를 가리킨다. 직접 프로듀싱에 참여해 자기 세계관을 펼치는 한국식 개념과는 좀 다르다. 그러니 2010년 소녀시대 등 한국 걸그룹들의 일본시장 상륙 당시 일본미디어에서 이들을 가리켜 ‘아티스트에 가깝다’고 표현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면 한국대중 입장에선 점점 더 아리송한 얘기가 된다. 일본서 아이돌이란 의도적으로 전문성으로부터 탈피한 직종이란 얘기가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실제로 그렇다.

일본이라고 춤 잘 추는 댄서, 노래 잘 부르는 가수 없는 게 아니다. 오히려 대중문화계 전문인력 저변 자체는 한국보다 활성화돼있는 실정이다. 이유는 단순하다. 그런 갖가지 전문 분야들도 제각각 작은 시장들을 성립시킬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전문 댄스 팀 공연시장이 따로 있고, 싱어송라이터 공연과 음반시장이 따로 있으며, 그보다 마니악한 취향들도 보상받을 수 있는 시장 환경이 마련돼 있다.

이 같은 환경에서 ‘아이돌’은 전혀 다른 조건으로 성립될 수밖에 없다. 갖가지 전문영역 ‘표피’들만을 그러모은 형태, 다양한 영역에 걸쳐는 있지만 이렇다 할 역량은 갖추지 못한 다용도 범용상품 노선이 된다. 실제로 일본에서 아이돌은 워낙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심지어 라멘 말아주며 노래하는 아이돌도 존재한다. 전문성에서 벗어난 만큼 보다 살갑고 가볍게 소비되는 존재인 셈이다. 그 이상을 원한다면 그에 합당한 작은 시장들이 따로 존재하니 그리로 소비하면 된다. 그렇게 일본 아이돌은, 어찌 보면 비전문성을 목표(?)로 삼는 노선이라고까지 볼만 하다.

그러나 한국은 다르다. 한국은 대중문화 어느 분야건 중심이 되는 ‘굵은’ 노선을 제외하곤 작은 시장들 성립이 잘 안 되는 분위기다. 인디음악시장은 미미하게나마 존립되는 것 자체가 신기할 따름이다. 전문 댄스 팀 공연시장은 실제로 존재한다고 보기도 힘들다. 그 외에 잡지모델 등 모델시장 역시 국내수요만으론 성립이 잘 안 된다. ‘작은 것’은 뭐든 잘 안 된다. 대신 그 중심이 되는 ‘굵은’ 산업이 모든 근접 장르 시장은 물론 그 경향과 개념까지도 모조리 빨아들이는 형태다.

그래서 한국 아이돌은 춤도 전문 댄서 못지않게 춰야 하고, 노래도 수준급으로 불러야 하며, 개중에서 또 튀어 인정받으려면 작사/작곡/편곡 실력까지 갖춰야 한다. 거기다 외모 역시 모델 수준이어야 한다. 제대로 굴러가는 시장이 ‘굵은’ 아이돌 시장 하나밖에 없으니 다른 근접 분야들 요구조건까지 그 안으로 스며들어 훨씬 까다로운 조건들을 탄생시킨 형태다. 결국 아이돌이란 상품 하나만으로도 (실제로 시장이 존재하지 않는) 가지각색 분야들 쾌(快)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된 셈이다.

한국서 이 같은 쏠림현상은 비단 아이돌산업 차원에만 존재하는 게 아니다. 영화산업에서도 똑같은 상황이 펼쳐진다. 일례로, 한국엔 ‘예술영화시장’이란 게 딱히 존재하질 않는다. 해외기준으로 아트하우스(예술영화전용관) 등에서 상영되는 영화들 말이다. 그 외 각종 마니악한 서브장르영화 시장들도 존재하질 않는다. 영화산업에서 역시 ‘작은 것’은 성립되질 않는다. 대신 ‘굵은’ 대중용 상업영화가 모든 잔가지 장르 시장들은 물론 그 특성과 경향들까지 모조리 흡수한 형태다.

얼핏 ‘문제가 있다’고 평가될 만한 분위기지만, 사실 꼭 그렇지만도 않다. 큰 시야에서 보면 바로 이 같은 한국대중문화시장 특성이 ‘한류 대박’을 낳았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환경 하에서 탄생된 한국영화나 음악 등은 해외시장 기준으로 매우 기묘한 스탠스를 차지하게 된 탓이다. 일단 영화 장르부터 보자.

이처럼 여러 첨예한 비대중적 경향들을 흡수해버린 게 한국대중영화다 보니, 한국의 대중용 상업영화는 타국 입장에서 봤을 때 일반 대중영화치곤 예술적 완성도가 높고, 작가주의적 개성을 갖췄으며, 하드고어 등 극단적인 서브장르 경향까지도 포괄하는 특수한 상품이 된다. 단적인 예로, 한국에서 300만 이상 관객을 동원한 ‘올드보이’ 등도 해외에선 아트하우스에서 상영되는 예술영화로 분류될 정도다. 한국선 ‘누가 뭐래도 상업영화’였던 ‘올드보이’가 예술영화 장(場)인 칸국제영화제에서 심사위원대상까지 수상한 이력이 이를 방증해준다.

K팝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봐도 대중노선인 아이돌상품인데도 퀄리티가 불필요할 정도(?)로 높다. 음악 자체 퀄리티도 그렇거니와, 칼군무 등 퍼포먼스 차원에서도 전문 댄서 버금가는 실력이 추가된다. 대충 설렁설렁 율동하는 일본이나 미국 보이그룹 노선과는 차원이 다른 상품, 그런데도 어찌됐건 아이돌이란 범용노선에 기반하고 있는 독특한 차별화 상품이 되는 것이다. 자신들 시장엔 존재하지 않는 ‘중간노선 상품’이기에 일종의 경계상품-특수상품으로서 활로가 열린 셈이다.

이 같은 배경 차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잘게 나뉜 마니악한 시장들을 아우르는 범용상품 시장이란 본래 퀄리티 차원에선 큰 요구가 없는 법이다. 그리고 이런 시장구성은 비단 일본서만 벌어지는 일도 아니다. 유럽시장 역시 상당부분 일본이나 진배없다. 1990년대 중반 만4세 유아가수 조르디 앨범이 프랑스에서 200만장이나 팔려나간 사건을 기억하는 이들 많을 것이다. 거기에 무슨 ‘퀄리티’랄 게 있을까 말이다. 그저 일본처럼 가벼운 ‘즐거움’을 취하고자 할 뿐이고, 그게 한국 외 상당수 대중문화시장 환경이라 볼 수 있다. 오히려 한국이 특이한 환경에 가깝다. 그리고 그 특이함으로 해외시장 ‘틈새’를 공략해낸 게 바로 한류다.

끝으로, 22일 방영된 ‘프로듀스 48’ 2화엔 1화에서 볼 수 없었던 또 다른 ‘문화의 차이’가 등장한다. 소통문제로 소외된 48그룹 멤버들을 배려해 한국 연습생들이 따로 이들을 연습시키고 불안한 심정을 보듬어 안아주는 장면이다. 이에 대해 AKB48 멤버 이와타테 사호는 이렇게 말한다. “저희는 (서로 알려주고) 그런 게 별로 없어요. 자기의 일은 스스로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런데 한국 연습생들은 모두를 위해 가르쳐 주는 게 굉장히 기뻤어요.” 어느 쪽 사고가 맞다 틀리다 말하기 힘든 사안이지만, 어찌됐건 일본에 비해 공동체주의적 사고가 강한 한국의 집단문화가 좋은 쪽으로 발현된 장면이었다.

이제 한국 아이돌에 비해 실력이 부족한 일본 아이돌 묘사는 할 만큼 다 했다. 이 이상 반복은 프로그램 상 무의미하며 관심을 끌지도 못한다. 반면 이와타테가 말한 행동양식 차이들이야말로 향후 더 보여줄 가치가 있는 또 다른 ‘문화의 차이’라 할 만하다. 이처럼 가히 인류학적 차원의 문화 차이들, 생각보다 많을 것이다. 이쪽을 발굴해 살리는 방향이야말로 향후 시청자들 흥미를 붙들어둘 방향일 수 있다.

어차피 ‘프로듀스 48’은 그 시작부터가 ‘차이’의 문제를 잉태하고 있었던 기획이다. 아마 프로그램 끝날 때까지도 같은 주제가 반복될 심산이 크다. 그러나 프로그램이 끝날 때쯤이면, 우린 그 ‘차이’들에 대해 이전보다 훨씬 잘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모든 종류 문화교류의 근간은 일단 서로의 ‘차이’부터 알고 확인하는 일이다. 어쩌면 바로 이 부분이, 단순히 누가 경쟁을 뚫고 데뷔조에 들어가느냐는 것보다 더 중심적인 프로그램 내적 테마일 수도 있다.

이문원 대중문화평론가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연예 스포츠 라이프 포토

연예
스포츠
라이프
포토